K학술 강의 소개
개설 강좌 목록
1차년도 - 대주제 <인물>
대상 | 수준 | 강좌명 | 담당교수 | |
---|---|---|---|---|
1 | 범용성 | 초급 | 판소리 명인·명창 | 송미경 |
2 | 중급 | 조선의 문장가 열전 | 송혁기 | |
3 | 중급 | 한국의 근대 문법가들 | 이영제 | |
4 | 중급 | 조선의 서화가 | 류승민 | |
5 | 중급 | 근현대문학 작가열전 | 기획 강좌 | |
6 | 고급 | 한국 여배우 열전 | 김남석 | |
7 | 고급 | 한국 현대 페미니즘 여성 시인들 | 오형엽 | |
8 |
지역 맞춤형 |
초급 | 한시를 영화로 읽기: 시인과 이미지 | 임준철 |
9 | 초급 | 한국어교육을 위한 한국어와 영어 대조 분석 | 장미경 | |
10 | 고급 | 한국의 문자 발명가와 표기의 역사 | 장경준 |
2차년도(주제: 시공간)
대상 | 수준 | 강의언어 | 강좌명 | |
---|---|---|---|---|
1 | 범용성 | 초급 | 한국어 | 한국어의 방언 |
2 | 초급 | 한국어 | 극장을 통해 본 한국영화사 | |
3 | 초급 | 영어 | 서울의 역사와 문화공간 | |
4 | 중급 | 한국어 | 한국 대중문화와 장르문학 | |
5 | 고급 | 한국어 | 한국어의 역사 | |
6 | 고급 | 한국어 | 한국 현대문학과 현대사 | |
7 |
지역 맞춤형 |
초급 | 중국어 | 한국어교육을 위한 한국어와 중국어 대조 분석 |
8 | 중급 | 한국어 | 한국 한시 기행 | |
9 | 중급 | 한국어 | 한국 고전소설 배경공간으로서의 동아시아 | |
10 | 중급 | 한국어 | 한국의 정원과 원림 |
3차년도(주제: 안과 밖)
대상 | 수준 | 강의언어 | 강좌명 | |
---|---|---|---|---|
1 | 범용성 | 초급 | 영어 | 북한사회의 안과 밖 |
2 | 초급 | 한국어 | 남북한 언어 비교 | |
3 | 중급 | 한국어 | 한국전쟁과 고아, 해외입양 | |
4 | 고급 | 한국어 | 문화냉전과 한국영화 | |
5 | 고급 | 한국어 | 한국어 교육자를 위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수법 | |
6 |
지역 맞춤형 |
초급 | 중국어 | 한국과 중국의 한자문화 비교 |
7 | 중급 | 스페인어 | 한국어교육을 위한 한국어와 스페인어 대조 분석 | |
8 | 중급 | 중국어/한국어 | 연행록을 통해 본 조선의 대외교류 | |
9 | 고급 | 한국어 | 고전문학의 동아시아적 유통과 변이 | |
10 | 고급 | 한국어 | 한국 문학과 동아시아 문학 |
4차년도(주제: 맛과 멋)
대상 | 수준 | 강의언어 | 강좌명 | |
---|---|---|---|---|
1 | 범용성 | 초급 | 한국어 | 한국의 의식주 |
2 | 초급 | 영어 | 한국어의 표현과 예절 | |
3 | 중급 | 한국어 | 한국 건축의 미학 | |
4 | 고급 | 한국어 | 한국 대중가요의 감성 구조 | |
5 | 고급 | 한국어 | 한국의 전통연희 | |
6 | 초급 | 영어/한국어 | 디지털 시대의 한국어 | |
7 | 중급 | 한국어 | 조선 사대부의 산수유람과 풍류 | |
8 |
지역 맞춤형 |
중급 | 중국어/한국어 | 한중 고전서사와 영상콘텐츠 |
9 | 고급 | 중국어 | 한국 전통문학과 회화 | |
10 | 고급 | 러시아어 | 한국어 교육을 위한 한국어와 러시아어의 대조 |
5차년도(주제: 소통과 치유)
대상 | 수준 | 강의언어 | 강좌명 | |
---|---|---|---|---|
1 | 범용성 | 중급 | 영어 | 현대 한국의 트라우마와 치유 |
2 | 중급 | 한국어 | 일제강점기 한국 근대 소설 | |
3 | 중급 | 한국어 | 자만시와 자찬, 자기 성찰의 글쓰기 | |
4 | 중급 | 한국어 | 한국 드라마의 사회사 | |
5 | 고급 | 한국어 | 한국의 무속적 세계관 | |
6 | 고급 | 한국어 | 선인들의 일상과 내면, 한글 편지와 일기 | |
7 | 고급 | 한국어 | 한국어 교육자를 위한 교수학습 자료 개발 | |
8 | 고급 | 한국어 | 한국어 교육자를 위한 한국어 능력 평가의 이해와 실제 | |
9 |
지역 맞춤형 |
초급 | 한국어 | 소통과 치유의 한의학 |
10 | 초급 | 베트남어 | 한국어교육을 위한 한국어와 베트남어 대조 분석 |
강좌 제작 방향
- 연차별 대주제를 중심으로 하되, 해외 수요조사에서 수요가 높은 한국어교육 및 한국어-외국어 대조 분석, 교육자를 위한 특화 강좌를 추가 구성함
- 범용성 강좌와 지역맞춤형 강좌, 수준별 강좌, 어문문화 이외 분야 강좌, 외국어 강의 강좌의 비율을 적절히 안배함
- 수강생 설문조사, 해외 연구진 의견 수렴, 해외 수요 조사 등을 반영하여 강좌의 비율을 조정함